Chapter 15 연관규칙

library(tidyverse)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이란 간단히 말하면 항목들 간의 조건-결과 식으로 표현되는 유용한 패턴을 말한다. 연관규칙 탐사는 기업의 활동, 특히 마케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15.1 필요 R package 설치

본 장에서 필요한 R 패키지들은 아래와 같다.

package version
tidyverse 1.3.1
arules 1.6-8

15.2 연관규칙의 정의 및 성능척도

데이터베이스가 총 \(n\)개의 트랜잭션 데이터로 구성되며, 전체 \(m\)개의 항목을 포함한다 하자. 전체 항목집합 \(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begin{equation*} I = \{ i_1, \cdots, i_m \} \end{equation*}\]

이 때, 각 트랜잭션 \(Z_j\)\(I\)의 부분집합이 된다.

\[\begin{equation*} Z_j \subseteq I, \, j = 1, \cdots, n \end{equation*}\]

연관규칙 \(R\)은 조건부 \(X\)와 결과부 \(Y\)로 구성되어 (\(X, Y \subseteq I\), \(X \cap Y = \emptyset\)) “\(X\)가 일어나면 \(Y\)도 일어난다”는 의미로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begin{equation} R: X \Rightarrow Y \tag{15.1} \end{equation}\]

(15.1)의 연관규칙 \(R\)에 대한 성능척도로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및 개선도(lift)가 널리 사용된다.

15.2.1 지지도

지지도는 전체 트랜잭션 중 관심있는 항목집합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의 비율을 나타낸다.

항목 \(X \subseteq I\)에 대한 지지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begin{equation*} supp(X) = \frac{1}{n} \sum_{j = 1}^{n} \mathbb{I}(X \subseteq Z_j) \end{equation*}\]

이 때, \(\mathbb{I}(a)\)는 지시함수로 \(a\)가 참일 때 1, 거짓일 때 0의 함수값을 가진다.

(15.1)의 연관규칙 \(R\)에 대한 지지도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begin{equation*} supp(R) = supp(X \cup Y) \end{equation*}\]

다음과 같은 5개의 트랜잭션을 고려해보자.

transaction_df <- tribble(
  ~transaction_id, ~item,
  1, "b",
  1, "c",
  1, "g",
  2, "a",
  2, "b",
  2, "d",
  2, "e",
  2, "f",
  3, "a",
  3, "b",
  3, "c",
  3, "g",
  4, "b",
  4, "c",
  4, "e",
  4, "f",
  5, "b",
  5, "c",
  5, "e",
  5, "f",
  5, "g"
)

transaction_df %>%
  group_by(transaction_id) %>%
  summarize(items = str_c(item, collapse = ", ")) %>%
  knitr::kable(
    booktabs = TRUE,
    align = c('c', 'c'),
    col.names = c('트랜잭션', '항목'),
    caption = '트랜잭션 데이터'
  )
Table 15.1: 트랜잭션 데이터
트랜잭션 항목
1 b, c, g
2 a, b, d, e, f
3 a, b, c, g
4 b, c, e, f
5 b, c, e, f, g

이 때, 전체 항목집합 \(I\)\(\{a, b, c, d, e, f, g\}\) 이다.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적용해보자.

\[\begin{equation*} R: \{b, c\} \Rightarrow \{g\} \end{equation*}\]

이 때, 조건부 \(X = \{b, c\}\)에 대한 지지도는 아래와 같이 산출된다.

support <- function(group_df, item, set) {
  if(is_empty(set)) return(1)
  
  group_df %>%
    unique() %>%
    summarize(n = sum(!!rlang::sym(item) %in% set)) %>%
    mutate(is_support = (n == length(set))) %>%
    {mean(.$is_support)}
}

X <- c("b", "c")
group_transaction_df <- transaction_df %>% group_by(transaction_id)

support(group_transaction_df, item = "item", set = X)
## [1] 0.8

또한, 규칙 \(R\)에 대한 지지도는 아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Y <- c("g")
support(group_transaction_df, item = "item", set = union(X, Y))
## [1] 0.6

15.2.2 신뢰도

연관규칙 \(R\)의 가치를 평가할 때, 통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신뢰도를 사용한다.

\[\begin{equation*} conf(R) = \frac{supp(R)}{supp(X)} = \frac{supp(X \cup Y)}{supp(X)} \end{equation*}\]

이 신뢰도는 조건부 확률의 개념으로, 집합 \(X\)(조건부)가 발생할 때 집합 \(Y\)(결과부)도 동시에 발생할 확률을 의미한다.

rule_confidence <- function(group_df, item, x, y) {
  support(group_df, item, union(x, y)) / support(group_df, item, x)
}
rule_confidence(group_transaction_df, item = "item", x = X, y = Y)
## [1] 0.75

15.2.3 개선도

결과가 단독으로 발생할 가능성에 비추어 조건과 연계하여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의 빈도 비율로 정의한다.

\[\begin{equation*} lift(R) = \frac{conf(R)}{supp(Y)} = \frac{supp(X \cup Y)}{supp(X)supp(Y)} \end{equation*}\]

rule_lift <- function(group_df, item, x, y) {
  rule_confidence(group_df, item, x, y) / support(group_df, item, y)
}
rule_lift(group_transaction_df, item = "item", x = X, y = Y)
## [1] 1.25

즉, 항목 \(b\), \(c\)가 발생할 때 \(g\)가 발생하는 빈도가 25% 높아진다.

15.3 연관규칙의 탐사

연관규칙의 탐사는 결국 신뢰도 또는 개선도가 높은 규칙 \(R\)을 트랜잭션 데이터로부터 도출하는 과정이다. 알고리즘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Apriori 알고리즘(Agrawal, Srikant, et al. 1994)이다.

15.3.1 빈발항목집합 생성

빈발항목집합(large itemsets)이란 미리 결정한 최소 지지도 \(s_{\text{min}}\) 이상의 지지도를 같는 모든 항목집합들을 뜻한다.

빈발항목집합 생성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k\)개의 항목을 지닌 빈발항목집합 후보군 \(C_{k}\) 중 최소지지도 \(s_{\text{min}}\) 이상의 지지도를 같는 모든 항목집합들을 빈발항목집합 \(L_{k}\)라 한다.
  2. 빈발항목집합들 \(L_{k}\)내의 각 쌍에 대해 합집합을 구하여 그 합집합의 크기(항목의 수)가 \(k + 1\)인 항목집합들을 빈발항목집합 후보군 \(C_{k + 1}\)라 한다.

\(k\)를 1부터 증가시키면서 더 이상 빈발항목집합을 찾을 수 없을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이 때, 빈발항목집합 후보군을 생성하는 함수 apriori_gen을 아래와 같이 구현해보자.

apriori_gen <- function(L) {
  if(length(L) < 2) return(NULL)
  
  n_sets <- length(L)
  n_item <- unique(map_dbl(L, length))

  if(length(n_item) > 1) stop("All itemsets must be the same length.")
  
  C <- combn(L, m = 2, simplify = TRUE) %>%
    t() %>%
    `colnames<-`(c("set1", "set2")) %>%
    as_tibble() %>%
    pmap(function(set1, set2) {
      if(length(intersect(set1, set2)) != n_item - 1) return(NULL)
      sort(union(set1, set2))
      }) %>% 
    compact() %>%
    unique()

  C  
}

위 함수를 이용하여, Table 15.1에서 최소 지지도 \(s_{\text{min}} = 0.4\)를 기준으로 빈발항목집합을 찾아보자.

s_min <- 0.4
group_transaction_df <- transaction_df %>% group_by(transaction_id)

candidate_itemsets <- as.list(sort(unique(transaction_df$item)))
large_itemsets <- vector("list", length = length(candidate_itemsets))

for(i in seq_along(large_itemsets)) {
  itemset_support <- map_dbl(candidate_itemsets, 
                             support, 
                             group_df = group_transaction_df, 
                             item = "item")

  large_itemsets[[i]] <- candidate_itemsets[itemset_support >= s_min]
  
  candidate_itemsets <- apriori_gen(large_itemsets[[i]])
  
  if(is.null(candidate_itemsets)) break
}

large_itemsets <- compact(large_itemsets)

찾아진 빈발항목집합들은 아래와 같다.

map(large_itemsets,
    ~map_chr(.x, ~str_c("{", str_c(.x, collapse = ", "), "}")))
## [[1]]
## [1] "{a}" "{b}" "{c}" "{e}" "{f}" "{g}"
## 
## [[2]]
## [1] "{a, b}" "{b, c}" "{b, e}" "{b, f}" "{b, g}" "{c, e}"
## [7] "{c, f}" "{c, g}" "{e, f}"
## 
## [[3]]
## [1] "{b, c, e}" "{b, c, f}" "{b, c, g}" "{b, e, f}"
## [5] "{c, e, f}"
## 
## [[4]]
## [1] "{b, c, e, f}"

15.3.2 규칙의 탐사

도출된 빈발항목집합 각각(\(L\))을 조건부(\(X\))와 결과부(\(Y = L \backslash A\))로 나눌 때 미리 결정된 최소 신뢰도 \(c_{\text{min}}\) 이상의 신뢰도를 지닌 규칙 \(R\)을 찾는다.

\[\begin{equation*} R: X \Rightarrow L \backslash X \end{equation*}\]

우선, 빈발항목집합 \(L\)으로부터 가능한 규칙들을 생성하는 함수 generate_rules를 아래와 같이 구현해보자.

generate_rules <- function(L, n_min_item = 1) {
  n_item <- length(L)
  if(n_item < n_min_item) return(NULL) # 항목 최소개수 제한
  
  X <- map(seq_len(n_item), ~combn(L, m = .x - 1, list)) %>% flatten()
  Y <- map(X, ~setdiff(L, .x))
  
  tibble(X = X, Y = Y)
}

앞 장에서 추출한 모든 빈발항목집합들로부터 규칙을 생성해보자.

rule_list <- map_dfr(
  large_itemsets %>% flatten(),
  generate_rules
)

각각의 규칙에 대하여 신뢰도를 계산하여, 그 값이 최소 신뢰도 \(c_{\text{min}}\) 이상인 규칙만을 conf_rule_list라는 데이터 프레임으로 저장하자.

rule_list$confidence <- pmap_dbl(rule_list, function(X, Y) 
  rule_confidence(group_transaction_df, item = "item", x = X, y = Y)
  )

c_min <- 0.7
conf_rule_list <- rule_list %>% filter(confidence >= c_min)

이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규칙들은 아래와 같다.

conf_rule_list %>%
  rowwise() %>%
  mutate(
    X = str_c("{", str_c(unlist(X), collapse = ", "), "}"),
    Y = str_c("{", str_c(unlist(Y), collapse = ", "), "}")
  ) %>%
  knitr::kable(
    booktabs = TRUE,
    align = c('c', 'c', 'c'),
    col.names = c('조건부 $X$', '결과부 $Y$', '신뢰도'),
    caption = '최종 연관규칙'
  )
Table 15.2: 최종 연관규칙
조건부 \(X\) 결과부 \(Y\) 신뢰도
{} {b} 1.00
{} {c} 0.80
{a} {b} 1.00
{} {b, c} 0.80
{b} {c} 0.80
{c} {b} 1.00
{e} {b} 1.00
{f} {b} 1.00
{g} {b} 1.00
{c} {g} 0.75
{g} {c} 1.00
{e} {f} 1.00
{f} {e} 1.00
{c, e} {b} 1.00
{c, f} {b} 1.00
{c} {b, g} 0.75
{g} {b, c} 1.00
{b, c} {g} 0.75
{b, g} {c} 1.00
{c, g} {b} 1.00
{e} {b, f} 1.00
{f} {b, e} 1.00
{b, e} {f} 1.00
{b, f} {e} 1.00
{e, f} {b} 1.00
{c, e} {f} 1.00
{c, f} {e} 1.00
{c, e} {b, f} 1.00
{c, f} {b, e} 1.00
{b, c, e} {f} 1.00
{b, c, f} {e} 1.00
{c, e, f} {b} 1.00

항목의 수가 많은 경우, 생성 가능한 규칙의 수가 매우 많아, 보다 효율적인 탐사의 수행이 필요할 수 있다. 자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교재 (전치혁 2012) 참조.

15.3.3 R 패키지 내 Apriori

R 패키지 arulesapriori 함수를 이용하여 위에서 살펴본 연관규칙 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15.2.1 절에서 생성한 데이터 프레임 transaction_dfarules 패키지 내에 정의된 transactions 클래스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requireNamespace("arules")
transaction_df2 <- as(
  split(transaction_df$item, transaction_df$transaction_id),
  "transactions"
)

이후, apriori 함수를 호출하여 연관규칙 탐사를 수행한다.

rule_results <- arules::apriori(
  transaction_df2,
  parameter = list(
    support = 0.4,
    confidence = 0.7,
    target = "rules"
  ),
  control = list(
    verbose = FALSE
  )
)

결과로 얻어지는 rules 클래스 객체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 프레임으로 저장하자.

  • lhs: 조건부
  • rhs: 결과부
  • quality: 평가척도 (지지도, 신뢰도, 개선도, 관측수)
rule_results_df <- tibble(
  X = as(rule_results@lhs, "list"),
  Y = as(rule_results@rhs, "list")
) %>%
  bind_cols(rule_results@quality)

해당 데이터 프레임은 아래와 같다.

rule_results_df %>%
  rowwise() %>%
  mutate(
    X = str_c("{", str_c(unlist(X), collapse = ", "), "}"),
    Y = str_c("{", str_c(unlist(Y), collapse = ", "), "}")
  ) %>%
  knitr::kable(
    booktabs = TRUE,
    align = c('c', 'c', 'c', 'c', 'c', 'c', 'c'),
    col.names = c('조건부 $X$', '결과부 $Y$', '지지도',
                  '신뢰도', '포함률', '개선도', '관측수'),
    caption = '최종 연관규칙 - arules::apriori'
  )
Table 15.3: 최종 연관규칙 - arules::apriori
조건부 \(X\) 결과부 \(Y\) 지지도 신뢰도 포함률 개선도 관측수
{} {c} 0.8 0.80 1.0 1.000000 4
{} {b} 1.0 1.00 1.0 1.000000 5
{a} {b} 0.4 1.00 0.4 1.000000 2
{g} {c} 0.6 1.00 0.6 1.250000 3
{c} {g} 0.6 0.75 0.8 1.250000 3
{g} {b} 0.6 1.00 0.6 1.000000 3
{e} {f} 0.6 1.00 0.6 1.666667 3
{f} {e} 0.6 1.00 0.6 1.666667 3
{e} {b} 0.6 1.00 0.6 1.000000 3
{f} {b} 0.6 1.00 0.6 1.000000 3
{c} {b} 0.8 1.00 0.8 1.000000 4
{b} {c} 0.8 0.80 1.0 1.000000 4
{c, g} {b} 0.6 1.00 0.6 1.000000 3
{b, g} {c} 0.6 1.00 0.6 1.250000 3
{b, c} {g} 0.6 0.75 0.8 1.250000 3
{c, e} {f} 0.4 1.00 0.4 1.666667 2
{c, f} {e} 0.4 1.00 0.4 1.666667 2
{e, f} {b} 0.6 1.00 0.6 1.000000 3
{b, e} {f} 0.6 1.00 0.6 1.666667 3
{b, f} {e} 0.6 1.00 0.6 1.666667 3
{c, e} {b} 0.4 1.00 0.4 1.000000 2
{c, f} {b} 0.4 1.00 0.4 1.000000 2
{c, e, f} {b} 0.4 1.00 0.4 1.000000 2
{b, c, e} {f} 0.4 1.00 0.4 1.666667 2
{b, c, f} {e} 0.4 1.00 0.4 1.666667 2

위 Table 15.3를 살펴보면, 결과부에는 오직 하나의 항목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priori 알고리즘이 제안된 원 논문 (Agrawal, Imieliński, and Swami 1993)에 따른 것이며, 위 15.3.2 절에서 여러 개의 항목이 결과부에 존재하는 방식은 이 Apriori 알고리즘을 보다 일반화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15.4 순차적 패턴의 탐사

순차적 패턴(sequential pattern)이란 고객들의 시간에 따른 구매 행태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냉장고를 구입한 후 김치냉장고를 구매한다”는 식이다.

순차적 패턴의 탐사를 위해서는 고객별, 시간별 트랜잭션 데이터가 필요하다. 항목 집합을 순서적으로 나열한 리스트를 시퀀스(sequence)라 하는데, \(A_j\)\(j\)번째의 항목집합이라 할 때,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egin{equation*} s = < A_1, A_2, \cdots, A_n > \end{equation*}\]

시퀀스에 포함된 항목집합의 수를 시퀀스의 길이라 하며, 길이가 \(k\)인 시퀀스를 \(k\)-시퀀스라 한다.

\[\begin{equation*} length(< A_1, A_2, \cdots, A_n >) = n \end{equation*}\]

두 시퀀스 \(s_1 = < A_1, A_2, \cdots, A_n >\)\(s_2 = < B_1, B_2, \cdots, B_m >\)에 대하여 (\(n \leq m\)),

\[\begin{equation*} A_1 \subseteq B_{i_1}, A_2 \subseteq B_{i_2}, \cdots, A_n \subseteq B_{i_n} \end{equation*}\]

이 성립하는 \(i_1 < i_2 < \cdots < i_n\)이 존재할 때, \(s_1\)\(s_2\)에 포함된다고 하며, 이 때 \(s_1\)\(s_2\)의 부분 시퀀스라 하며,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begin{equation*} s_1 \prec s_2 \end{equation*}\]

시퀀스 \(s\)가 어떤 다른 시퀀스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최대 시퀀스(maximal sequence)라 한다.

\(N\)명의 고객 각자에 대한 트랜잭션 시퀀스를 고객 시퀀스(customer sequence)라 하며, \(i\)번째 고객에 대한 고객 시퀀스를 \(s_i\)라 할 때 (\(i = 1, \cdots, N\)), 임의의 시퀀스 \(s\)에 대한 지지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egin{equation*} supp(s) = \frac{1}{N} \sum_{i = 1}^{N} I(s \prec s_i) \end{equation*}\]

그리고, 미리 정한 최소 지지도 이상을 갖는 시퀀스를 빈발 시퀀스(large sequence)라 한다. 따라서, 순차적 패턴 탐사 문제는 빈발 시퀀스 중 최대 시퀀스(maximal sequence)들을 찾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5.4.1 AprioriAll 알고리즘

AprioriAll 알고리즘은 빈발 시퀀스를 탐색하나, 탐색된 시퀀스가 최대 빈발 시퀀스임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후에 최대화 단계를 요한다.

아래와 같은 고객 시퀀스가 존재한다고 하자.

sequential_transaction_df <- tribble(
  ~customer_id, ~transaction_seq, ~item,
  1, 1, "a",
  1, 2, "b",
  2, 1, "c",
  2, 1, "d",
  2, 2, "a",
  2, 3, "e",
  2, 3, "f",
  2, 3, "g",
  3, 1, "a",
  3, 1, "h",
  3, 1, "g",
  4, 1, "a",
  4, 2, "e",
  4, 2, "g",
  4, 3, "b",
  5, 1, "b"
)

sequential_transaction_df %>%
  group_by(customer_id, transaction_seq) %>%
  summarize(itemset = str_c("{", str_c(item, collapse = ", "), "}")) %>%
  summarize(sequence = str_c("<", str_c(itemset, collapse = ", "), ">")) %>%
  knitr::kable(
    booktabs = TRUE,
    align = c("c", "c"),
    col.names = c("고객ID ($i$)", "고객 시퀀스 ($s_i$)"),
    caption = "고객별 시퀀스"
  )
## `summarise()` has grouped output by 'customer_id'. You can override using the `.groups` argument.
Table 15.4: 고객별 시퀀스
고객ID (\(i\)) 고객 시퀀스 (\(s_i\))
1 <{a}, {b}>
2 <{c, d}, {a}, {e, f, g}>
3 <{a, h, g}>
4 <{a}, {e, g}, {b}>
5 <{b}>

고객 시퀀스의 항목집합 또는 이의 부분집합 중 최소 지지도 이상인 것들을 빈발항목 집합으로 도출한다.

우선 시퀀스가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 is_contained와 고객 시퀀스 집합의 특정 패턴에 대한 지지도를 산출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 support_sequence를 아래와 같이 구현해보자.

is_contained <- function(x, pattern) {
  n_x <- length(x)
  n_pattern <- length(pattern)
  if (n_pattern == 0) return (TRUE)
  
  rtn <- FALSE
  
  location <- rep(NA_integer_, n_pattern)

  if (n_x >= n_pattern) {
    j <- 1L
    for(i in seq_len(n_x)) {
      if (is_empty(setdiff(pattern[[j]], x[[i]]))) {
        location[j] <- i
        j <- j + 1
        if (j > n_pattern) {
          rtn <- TRUE
          break
        }
      }
    }
  }

  rtn
}

support_sequence <- function(sequence_list, pattern) {
  map_lgl(sequence_list, is_contained, pattern = pattern) %>% mean()
}

15.3.1절에서와 같이 사용자 정의 함수 apriori_gen을 이용하여 빈발항목집합(시퀀스 지지도 기준)을 아래와 같이 얻는다.

s_min <- 0.4

customer_sequence <- sequential_transaction_df %>%
  group_by(customer_id, transaction_seq) %>%
  summarize(itemset = list(item)) %>%
  summarize(sequence = list(itemset))
## `summarise()` has grouped output by 'customer_id'. You can override using the `.groups` argument.
candidate_itemsets <- map(sort(unique(sequential_transaction_df$item)), ~list(.x))
large_itemsets <- vector("list", length = length(candidate_itemsets))

for (i in seq_along(large_itemsets)) {
  large_itemsets[[i]] <- candidate_itemsets[
    map_dbl(candidate_itemsets,
            ~support_sequence(customer_sequence$sequence, pattern = .x)) >= s_min
    ] %>% flatten()

  candidate_itemsets <- map(apriori_gen(large_itemsets[[i]]), ~list(.x))
}

large_itemsets <- large_itemsets %>% flatten()

위 결과, 아래와 같은 빈발항목집합이 얻어진다.

large_itemsets
## [[1]]
## [1] "a"
## 
## [[2]]
## [1] "b"
## 
## [[3]]
## [1] "e"
## 
## [[4]]
## [1] "g"
## 
## [[5]]
## [1] "e" "g"

위 빈발항목집합에 일련번호를 부여한 뒤, 고객 시퀀스를 해당 일련번호를 이용한 시퀀스로 변환한다. 우선 아래와 같이 일련번호를 부여해보자.

large_itemset_df <- tibble(
  itemset = large_itemsets,
  mapped_to = seq_along(large_itemsets)
)

large_itemset_df %>%
  rowwise() %>%
  mutate(itemset = str_c("{", str_c(itemset, collapse = ", "), "}")) %>%
  knitr::kable(
    booktabs = TRUE,
    align = c("c", "c"),
    col.names = c("빈발항목집합", "일련번호"),
    caption = "고객 시퀀스 빈발항목집합"
  )
Table 15.5: 고객 시퀀스 빈발항목집합
빈발항목집합 일련번호
{a} 1
{b} 2
{e} 3
{g} 4
{e, g} 5

원 고객 시퀀스에 대해, 각 항목집합이 위 빈발항목집합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일련번호가 항목으로 포함되는 형태로 변환 시퀀스를 생성한다.

customer_sequence$transformed_sequence <- customer_sequence$sequence %>%
  map(~map(.x, function(x) {
    large_itemset_df$mapped_to[
      map_lgl(large_itemset_df$itemset, ~is_contained(x, .x))
      ]
  }) %>% compact())

원 고객 시퀀스와 변환 시퀀스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print_sequence <- function(sequence) {
  str_c("<", str_c(
    map(sequence, function(x) 
      str_c(map_chr(x, ~str_c("{", str_c(.x, collapse = ", "), "}")), 
            collapse = ", ")),
    ">"))
}

customer_sequence %>%
  group_by(customer_id) %>%
  mutate(
    sequence = print_sequence(sequence),
    transformed_sequence = print_sequence(transformed_sequence)
  ) %>%
  knitr::kable(
    booktabs = TRUE,
    align = c("c", "c", "c"),
    col.names = c("고객ID", "고객 시퀀스", "변환 시퀀스"),
    caption = "고객 시퀀스의 변환"
  )
Table 15.6: 고객 시퀀스의 변환
고객ID 고객 시퀀스 변환 시퀀스
1 <{a}, {b}> <{1}, {2}>
2 <{c, d}, {a}, {e, f, g}> <{1}, {3, 4, 5}>
3 <{a, h, g}> <{1, 4}>
4 <{a}, {e, g}, {b}> <{1}, {3, 4, 5}, {2}>
5 <{b}> <{2}>

변환 시퀀스를 기준으로, 길이가 1인 빈발 시퀀스를 구한다. 최소 지지도를 앞에서 빈발항목집합을 구할 때와 동일하게 설정할 때, 길이가 1인 빈발 시퀀스는 빈발항목집합(의 변환된 일련번호)과 동일하다.

우선, 최대 시퀀스 길이를 구하자.

max_sequence_length <- max(map_int(customer_sequence$transformed_sequence, ~length(.x)))

1-시퀀스인 빈발시퀀스는 빈발항목집합과 같다.

large_sequences <- vector("list", length = max_sequence_length)
large_sequences[[1]] <- map(large_itemset_df$mapped_to, ~list(.x))

같은 길이의 두 시퀀스를 이용해서 길이가 1 증가한 새로운 시퀀스를 생성하는 함수 generate_sequence를 아래와 같이 구현해보자. 새로운 시퀀스는 첫 번째 시퀀스 후에 두 번째 시퀀스의 가장 마지막 트랜잭션을 추가한 시퀀스이다.

generate_sequence <- function(seq1, seq2) {
  if (length(seq1) != length(seq2)) stop("Two sequences must be the same length.")
  
  # two k-sequences needs to be the same for first k-1 items to generate new sequence
  new_sequence <- NULL
  k <- length(seq1)
  if (identical(seq1[seq_len(k - 1)], seq2[seq_len(k - 1)])) {
    new_sequence <- c(seq1, seq2[[k]])
  }
  
  new_sequence
}

빈발 \(k\)-시퀀스들로부터 \((k+1)\)-시퀀스들을 생성하는 함수 apriori_seq_gen을 아래와 같이 구현해보자.

apriori_seq_gen <- function(L) {
  n_seqs <- length(L)
  n_item <- unique(map_dbl(L, length))
  
  if (length(n_item) > 1) stop("All sequences must be the same length.")
  
  k <- n_item
  
  # generate large new sequences with length (k+1)
  C <- vector("list", length = n_seqs * n_seqs)
  for (i in seq_along(L)) {
    for (j in seq_along(L)) {
      candidate_sequence <- generate_sequence(L[[i]], L[[j]])
      
      # check whether all subsequences with length k are element of L
      if (
        all(map_lgl(seq_len(k), function(x) 
          any(map_lgl(L, ~identical(.x, candidate_sequence[-x])))
        ))
      ) {
        C[[n_seqs * (i - 1) + j]] <- candidate_sequence
      }
    }
  }
  
  compact(C)
}

apriori_seq_gen 함수 수행결과로 얻어지는 \((k+1)\)-시퀀스들이 모두 빈발 시퀀스라는 보장은 없으므로, 새로 생성된 각 시퀀스가 최소 지지도 이상의 지지도를 갖는지 검토하여, 빈발 시퀀스만을 남기기로 하자. 앞에서 정의했던 함수 support_sequence를 활용하여, 새로운 함수 get_large_sequence를 정의하자.

get_large_sequence <- function(sequence_list, C, s_min) {
  is_large <- map_lgl(
    C, ~ support_sequence(sequence_list, .x) >= s_min
  )
  
  C[is_large]
}

위 빈발 \(k\)-시퀀스를 과정을 \(k\)값을 1씩 증가시켜가며 더 이상 빈발 시퀀스를 찾을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s_min <- 0.4

large_sequences <- vector("list", length = max_sequence_length)
large_sequences[[1]] <- map(large_itemset_df$mapped_to, ~list(.x))

for(i in seq_len(max_sequence_length - 1)) {
  large_sequences[[i + 1]] <- get_large_sequence(
    customer_sequence$transformed_sequence,
    apriori_seq_gen(large_sequences[[i]]),
    s_min
  )
  
  if(is_empty(large_sequences[[i + 1]])) break
}

large_sequences <- flatten(compact(large_sequences))

결과적으로 찾아진 빈발 시퀀스들은 아래와 같다.

map_chr(large_sequences, 
    ~str_c("<", str_c(str_c("{", unlist(.x), "}"), collapse = ", "), ">"))
## [1] "<{1}>"      "<{2}>"      "<{3}>"      "<{4}>"     
## [5] "<{5}>"      "<{1}, {2}>" "<{1}, {3}>" "<{1}, {4}>"
## [9] "<{1}, {5}>"

이후 최대화 단계를 통해, 빈발 시퀀스 중 최대 시퀀스들만 추출한다.

maximal_large_sequences <- large_sequences

for (i in seq(from = length(large_sequences), to = 2)) {
  if(!is_empty(maximal_large_sequences[i])) {
    is_subsequence <- map_lgl(maximal_large_sequences[seq_len(i - 1)],
                              ~is_contained(maximal_large_sequences[i], .x))
    
    walk(which(is_subsequence), function(x) maximal_large_sequences[[x]] <<- list())
  }
}

maximal_large_sequences <- compact(maximal_large_sequences)

최대 빈발 시퀀스(변환 시퀀스 기준)은 아래와 같다.

map_chr(maximal_large_sequences, 
    ~str_c("<", str_c(str_c("{", unlist(.x), "}"), collapse = ", "), ">"))
## [1] "<{1}, {2}>" "<{1}, {3}>" "<{1}, {4}>" "<{1}, {5}>"

이외에도 AprioriSome 알고리즘, DynamicSome 알고리즘 등의 시퀀스 탐사 알고리즘 들이 존재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전치혁 (2012)Agrawal, Srikant, et al. (1995) 참고.

References

Agrawal, Rakesh, Tomasz Imieliński, and Arun Swami. 1993. “Mining Association Rules Between Sets of Items in Large Databases.” In Proceedings of the 1993 ACM SIGMO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Data, 207–16. SIGMOD ’93. New York, NY, USA: ACM. https://doi.org/10.1145/170035.170072.
Agrawal, Rakesh, Ramakrishnan Srikant, et al. 1994. “Fast Algorithms for Mining Association Rules.” In Proc. 20th Int. Conf. Very Large Data Bases, VLDB, 1215:487–99.
———, et al. 1995. “Mining Sequential Patterns.” In Icde, 95:3–14.
전치혁. 2012.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응용. 한나래출판사.